Skip to content

cron을 통해 가져온 데이터를 RDB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이슈 #57

Closed Answered by ej31
grulla99 asked this question in Q&A
Discussion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답변

또한 프로젝트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6개의 테이블로 나누어서 저장하는건 비효율적이고, mysql 을 사용할 것이라면 mysql에 json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니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해당 데이터를 이후 정제가 필요하거나 서치 쿼리가 많이 사용된다면 mongodb 사용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 이 부분은 잘못 전달 됐습니다.

    • API 응답으로 나온 JSON 데이터 원본을 MYSQL 에 그대로 저장한다면 mongodb 대비 성능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는게 전제입니다.
    • JSON 데이터를 예쁘게 파싱해서 RDB에 6개의 테이블로 나누는 것 자체는 괜찮습니다. 다만 아마데우스의 응답이 비정형 상태라는게 불안요소 입니다.
    • 또한 API 콜 한번에 JSON 데이터가 MB 단위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MYSQL의 JSON 컬럼타입을 이용한 JSON 데이터 탐색과 mongodb 의 JSON 탐색 속도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 추가적으로 해당 JSON 데이터는 서드파티 (아마데우스) 에서 얻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JSON 구조가 변하거나 value의 형태가 변하는 등 이슈가 발생하면 mongodb 가 RDB보다 더 유연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아마데우스에서 제공해주는 API 응답데이터가 더티데이터 수준은 아니지만 아마데우스 개발서버 API 를 통해 응답이 제멋대로 바뀌어서 내려왔다는 얘길 듣고 나서 R…

Replies: 1 comment 2 replies

Comment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2 replies
@ej31
Comment options

ej31 Aug 25, 2024
Maintainer

Answer selected by ej31
@grulla99
Comment option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Category
Q&A
Labels
None yet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