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hapter4 오픈소스 BPMS uEngine 소개

wntjsdl edited this page Apr 11, 2018 · 1 revision

본 교재에서는 BPM활용 과정을 보다 직접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누구나 무료로 활용/서비스 할 수 있는 오픈소스 BPMS인 uEngine 을 통해 실습의 모든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유엔진 BPM은 국내 최초의 프로페셔널 오픈소스 제품으로 모든 구성요소를 쉽게 임베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으로, 최근 기업들이 BPM도입에 관심을 두면서 제기된 기 도입 소프트웨어와의 합일성과 기능중복성, 그리고 총소유비용(TCO)에 대한 문제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차별성을 지닌다.



4-1
그림 4-1) 유엔진 포탈



엔진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는 컴포넌트 프레임워크는 새로운 유형의 액티비티 타입 및 외부 조직도, 외부 어플리케이션과의 데이터 일원 관리 등의 독특한 연동 패턴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 BPM제품들이 연동 및 커스터마이징 과정에서 불가피했던 여러 가지 연동 오버헤드를 가지는 것에 대비한 차별성으로 “임베디드 BPM”이라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임베디드 BPM

유엔진은 최초 개발 시점부터 컴포넌트 조립도구의 기반에서 시작하여 특히 타사의 여러 제품 군에 같이 통합되어 제공되는 OEM형태로서 제공된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독특한 제품의 역사와 기술적 기반의 특성은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연동 방식뿐만 아니라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형식의 연동모델을 가능하게 하여 콜백구현을 통한 외부 조직도 연계, 엔진의 이벤트 추출을 통한 여러 감사 데이터의 추출, 외부 메신저 연동, 워크리스트 연동 등이 수월하며, 기존 보유한 소프트웨어들을 BPM 모델링 상에서 활용할 수 있게끔 하는 액티비티 포장 기능 등이 제공된다.



4-2
그림 4-2) 확장성 높은 액티비티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디자이너



특히 이러한 특성은 기존에 잘 구성되어온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조직관리(HR), 결재 및 그룹웨어, EAI 등의 표준이 이미 성립된 경우) 에 최소한의 임팩트를 주면서 BPM을 내재하고자 하는 기업 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며 또한 ERP, PDM, SCM, CRM등 기존 경영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SW업체들도 LGPL라이선스로 제공되는 유엔진을 제품 내부에 임베드하여 자체 제품을 BPM기반의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및 차별화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