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am name : HEE
- Team members : 함은규, 이수현, 이지우
-
- 🕐시작일 : 2023.12.08(금)
- ⏰목표일 : 2023.12.11(월)
Ⅰ. 주제 선정
Ⅱ. 분석
Ⅲ. 결론
1. 서울 지역구별 범죄 건수와 경찰서, CCTV 상관관계 분석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1. 서울시 구별 범죄율, 경찰서, CCTV 위치 표기
1. 데이터 기본분석(1)
1) 범죄건수가 많은 지역 : 강남구 > 송파구 > 관악구
2) 지역구별 특징 : 강남구 > 마포구 > 서초구 (범죄 유형 : 강간, 강제추행)
2. 데이터 기본분석(2)
1) 지역구별 건수 비교 : 범죄건수 vs 경찰서 갯수 vs CCTV 갯수
2) 지역구별 비율 비교 : 범죄비율 vs 경철서비율 vs CCTV비율
5. 중간 결론 : CCTV가 증가하면 범죄율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1) . 상관계수(0.65)로 보면 범죄율에 따라 CCTV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비중이 한쪽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이 보이며, CI가 확장되어 상호관계가 명확하지 않음
2) CCTV증가에 따른 CCTV당 범죄를 확인해 보면 CCTV가 증가함에 따라 범죄율이 줄어는 것을 볼수있다
3) 그러나 그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 다른 원인 분석 : 범죄건수 vs 범죄 유형별 vs 인구수, 사업체수, 재산세, CCTV
1) 범죄건수는 폭력과 절도와 강한 상호관계(큰 비증)가 있음(폭력범죄는 절도와 강간·강제추행과 서로 관계성이 있음)
2) 범죄건수와 지역구의 인구수와 사업체수에 상호 관계를 갖으나 지역구의 인구수와 사업체수는 서로 독립 변수임다
**7. 이상값(강남구) 제외 **
강남구를 제외하면 CI 구간이 축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범죄의 건수는 인구수와 사업체수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줌
안전한 서울을 위해 인구당 CCTV 비율이 낮을 곳을 위주로 설치(정비)하면 안전한 서울을 만들 수 있을것이라 판단
1) 범죄율 : https://data.seoul.go.kr/dataList/316/S/2/datasetView.do
2) 경찰서 : https://www.data.go.kr/data/15054711/fileData.do
3) 주소 GPS 변경 : 카카오API (https://developers.kakao.com/)
4) CCTV위치 : https://www.bigdata-policing.kr/product/view?product_id=PRDT_468
5) 서울 지역구별 지방세 : https://data.seoul.go.kr/dataList/DT201004O140020/S/2/datasetView.do
6) 서울 지역구별 인구 : https://data.seoul.go.kr/dataList/419/S/2/datase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