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aeyoung1005/level2-cv-semanticsegmentation-cv-06-lv3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Repository files navigation

BoostCamp AI Tech 7th CV-06 Semantic Segmentation

팀 구성



김경윤


김영석


신영태


함로운


김태성


박태영

소개


24.11.11. ~ 24.11.28에 진행된 네부캠 7기 Hand Bone X-ray Image data Segmentation 대회입니다.

Xray 이미지에서 손가락 뼈들을 Segmentation하는 Multi-Label Task를 진행했습니다.

데이터 셋 : 2048 x 2048 크기의 손 뼈 X-ray 이미지. (Train : 800장, Test : 288장)

지표 : Dice Coefficient

결과


최종 순위 Public 5위, Private 6위 / 총 23 팀

image

실험


실험 내용
이미지 Resolution 고려 높은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이기에 Interpolation을 사용. 다만, 가장자리를 잘 포착하지 못해 이에 대한 성능 개선을 위한 실험.
보간 함수 변경, 원본 이미지 그대로 학습, Sliding Window, Super Resolution, SAM, Pixel Shuffling등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
Multi-Label Pixel 보완 손 등 뼈 부분의 픽셀이 Muti-Label인 경우, 모델 성능이 저조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
MixUp, Mask를 출력하고 Conv Layer로 다시 학습, 이미지 Crop 후 학습등 실험을 진행.
후처리 Mask 가장자리나, 비어있는 부분을 정제하기 위한 후처리.
OpenCV, Conv Layer, 클래스 별 Threshold 조정 등으로 실험을 진행.
모델 구조 수정 데이터에 맞는 모델 구조 수정 실험.
데이터의 해상도가 크기에 Batch를 못늘려 Batch Norm 변경, 학습 후 Conv Layer를 추가해서 Mask Fine Tuning, Auxilary Classifier 활용, Meta Data 활용, 배경 Pixel이 많은 걸 고려한 Loss 실험을 진행.
데이터 증강 데이터에 맞는 증강을 찾기 위한 실험.
RandomScaleResized Crop, Rotate, Flip, Pseudo Labeling을 실험.
앙상블 다양한 모델을 합쳐 최대한의 성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실험.
TTA, Label 별 Best Score Epoch 저장, Majority Voting, Weighted Majority Voting을 적용해봄.

역할


팀원 역할
경윤 MMSegmentation 모델 탐색, 해상도 변경 실험, 모델 수정을 통한 성능 개선, Loss 탐색, Pseudo Labeling, 후처리
영석 데이터 시각화 및 베이스라인에서 어그멘테이션, 모델 수정을 통해 성능개선 및 후처리
영태 MMsegmentation 라이브러리 세팅 및 모델 탐색, 해상도 변경 실험, MixUP, TTA & Ensemble
로운 SMP 모듈화, Sliding Window, 클래스별 threshold 적용 실험, multi-task learning
태성 MMsegmentation 라이브러리 세팅. 해상도를 고려한 실험. Mask 정보를 재처리하는 실험
태영   베이스라인 K-Fold, YOLO 실험, 앙상블 코드 수정, SR을 이용한 픽셀 보간, TTA

About

level2-cv-semanticsegmentation-cv-06-lv3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

  • Jupyter Notebook 79.2%
  • Python 20.7%
  • Shell 0.1%
  • Dockerfile 0.0%
  • Batchfile 0.0%
  • Makefile 0.0%